안녕하세요. 오늘은 노령연금 수급자격 신청방법에 대하여서 살펴보겠습니다.
많은 분들이 어려워하시는 부분이 있고요.
기초연금과 노령연금은 눈에 띄게 다른 연금임에도 오인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제 글을 읽으시면 아주 쉽게 차이점을 아실 수 있을 거예요! 바쁘신 분들을 위해서 신청 바로가기도
준비해 뒀으니까 집중해 주세요~! 그럼 시작합니다.
노령연금이란
노령연금이란, 65세 이상의 대한민국 국민이 기본적 노후생활을 할 수 있도록 정부에서 지원해 주는 기초지원 연금입니다. 2023년 기준 단독가구 월 최대 32만 3180원, 부부가구 월 최대 51만 7088원을 지급받습니다. 또한 매년마다 물가에 비례해 수급액이 상승합니다.
국민연금과는 별개의 제도이며, 국민연금에 가입했으나 가입액이 낮은 사람 또는 국민연금을 가입하지 않은 사람들을 대상으로 해요.기초노령연금을 수급받기 위한 수급자격과 신청까지 알려드리겠습니다.
서로 너무 다른 다른 연금이지만 두 가지 중복으로 수령이 가능 가능한 점이 있다는데, 지금 당장 아주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노령연금이란 국민연금과 같은 말이라고 합니다.
노령연금은 우리가 일반적으로 일컫는 '국민연금' 이에요. 납입한 만큼 받습니다.
국민연금에 가입하고, 계속하여 연금을 납부하신 분 중 60세 이상이 되시면 지급받게 되는 연금을 뜻하는데. 국민연금에 가입하시 않으신 분들도 65세가 되신 분들 중 생활이 힘드신 분들께 일정의 연금을 드리는 기초노령연금이라고도 하는데요.
추가로, 60세가 되기 전에 생활이 어렵거나 조기퇴직으로 인해 경제활동이 불가능하신 분들께 최대 5년을 빨리 연금을 수급하실 수 있게끔 하는 조기노령연금제도가 있다는데 이때 조기노령연금을 받기 위해서는 필수로 20년 이상 국민연금에 가입되어 있으셔야 합니다.
노령연금 지급가액
가입기간 중 납부한 연금액 및 납부기간에 따라 달라집니다.
국민연금 최고액수의 수령자는 월 246만 원을 받고 있으며, 평균은 57만 2천 원입니다.
기초노령연금 신청기간
만 65세 생일이 포함된 달 1개월 전부터 신청가능
사계절 언제든 신청가능한데요.
기초노령연금 신청방법
기초노령연금 신청장소
온라인 신청 (복지로 사이트) -> 기초노령연금 신청 바로가기
오프라인 신청(국민연금공단 지사 / 주소지 관할 읍면동 주민센터)
구비서류
주민등록증 / 면허증 / 장애인등록증 / 여권 등 본인을 증명가능한 신분증
기초노령연금 지급 계좌 통장사본
배우자 금융정보등제공동의서
전세/월세 계약서 (해당자만)
노령연금 수급자격
가입대상 : 만 18세 이상 만 60세 미만 전 국민
출생연도별로 연금지급 개시나이가 달라요.
지급개시연령은 1953년생부터 조금씩 조금씩 상향되어 1969년 이다음의 출생자부터는 65세(조기노령연금의 경우 60세)에 연금을 받도록 규정하였다고 합니다.
노령연금 수급요건은 국민연금 가입기간 10년 이상으로 출생연도별 노령연금 지급개시연령 향후에 지급받을 수 있다고 합니다.
지급개시연령에 도달한 다음에 달부터 평생 동안 월마다 수급을 받을 수 있고요. 단, 가입기간이 10년 이상이 그렇지 아니하면 받을 수 없습니다. 반드시 참조해 주셔야겠네요.
꼭!!! 가입기간이 10년 이상이어야 합니다.
(가입기간 중 납부한 연금액 및 기간에 따라 지급)
출생연도 1953~56년생 1957~60년생 1961~64년생 1965~68년생 1969년생 차후
노령연금 61세 62세 63세 64세 65세
조기노령연금 56세 57세 58세 59세 60세
주의할 점( 반드시 체크해 주세요 )
노령연금은 지급개시연령이 되어 받을 수 있는 권리가 나타나는 날부터 5년 안에 청구하지 않다고 하면 받을 수 없게 됩니다.
다만, 노령연금 청구일로부터 역산하여 근래 5년 이내의 급여분을 지급하며, 그 이후에는 해당월의 연금액을 매월 지급받을 수 있어요.
노령연금 수급자격 계산방법 제 글을 통해서, 본인이 받을 수 있는 날짜를 잘 체크하시어 쉽게 넘기는 일 없게 챙겨 받으시기를 희망합니다
조기 노령연금은 정해진 연령보다 최대 5년 일찍 받는 연금으로, 당겨 받는 년수만큼 총 연금액이 작아집니다.
기초 노령연금은 모두 받을 수 있는 것은 아니랍니다. 의외로 재산이 별로 없지만 거절이 되는 경우도 있고 남들이 보기에는 집도 있고 살만한 것과 같아 보이는데 노령연금을 잘 받는 분들도 있어요. 겉으로는 알 수 없는 소득인정액에 관련되는 경우에만 노령연금 수급이 가능해요.
주민등록증 기준 만 65세 이상
단독가구 소득인정액 169만 원, 부부가구 2,704,000원 이하
국민연금 수령액이 기준 기초노령연금 지급액 150% 이상인 경우 노령연금 수급액이 줄어듦
본인 또는 배우자가 직역연금 수급자인 경우 해당 안됨
(직역연금이란 : 공무원연금, 사학연금, 군인연금, 별정우체국직원연금)
우선, 다음에 소속되는 분들의 기초연금액은 기준연금액으로 산정되는데요.
* 2021년 1월 ~ 2021년 12월 :월 최대 300,000
국민연금을 받지 않고 계신 분(무연금자)
국민연금 월 급여액(국민연금법 제52조에 따른 부양가족연금액 제외)이 450,000원 이하인 분
국민연금의 유족연금이나 장애연금을 받고 계신 분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권자, 장애인연금을 받고 계신 분 등
컴퓨터 사용이 불가능한 경우나, 힘든 경향이라면 보건복지부 상담센터나 국민연금관리공단에서 상담을 받아 노령연금 수급자 여부를 검토할 수도 있어요.
국민연금 종류
국민연금에는 노령연금, 장애연금, 유족연금, 반환일시금, 사망일시금 등 가지 수가 많습니다
그 중 우리가 납입한 만큼 받는 일반적으로 말하는 국민연금이 바로 노령연금이에요.
노령연금을 받기 위하여서 가입기간이 10년 이상이어야 하며 일정 나이가 되어야 수령이 가능한데요.
출생연도 수령 시작나이 1953년~56년생 만 61세 1957년~60년생 만 62세 1961년~64년생 만 63세 1965년~68년생 만 64세 1969년 차후~ 만 65세
노령연금(국민연금)은 내가 납입한 금액과 납입한 기간에 따라 수령 가격이 변화합니다
기초연금이란
기초연금이란 나라에서 무상 지급하는 지원금 복지정책입니다. 수급자격이 된다면 매 월 최대 323,180원을 현금으로 받을 수 있습니다.
만 65세 어르신 중 소득기준액 이하인 분들께 지급하며 2023년 소득기준액은 하단과 같아요
✅ 구분 단독가구 부부가구 소득기준액 2,020,000원 3,232,000원
✅ 단독가구라면 월 2,020,000원 이하라면 받을 수 있기도 하고,
✅ 부부가구라면 월 3,232,000원 이하라면 수급자격이 된답니다.
소득인정액은 월 소득 + 보유재산을 월 소득으로 환산하여 총합으로 계산해요.
기초연금과 노령연금
국민연금과 기초연금은 모두 노후 생활에 필요한 연금 혜택을 책임지는 정부의 사회보장 제도예요.
그리하나 두 제도는 목적과 대상, 지급액, 지급조건 등에서 차이가 있고요.
여기까지 노령연금 수급자격과 노령연금 계산방법 등에 관해서 아주 면밀하게 알아보는 시간이었어요. 여러분께 효과적인 도움 되어드렸길 바라며 이상 글 마무리 하겠습니다. 감사해요.
국민 내일배움카드 신청방법 무조건 혜택받으세요!
안녕하세요! 오늘은 국민 내일배움카드 신청방법에 대해서 자세히 알려드릴거에요. 굉장히 쉽게 따라하실 수 있으니까 꼭 신청하세요! 국민 내일배움카드란 해당되는 모든 국민들에게 최대 500
richmom707.leve-rich.com
빌런 뜻 완벽정리
여러분 빌런이라는 단어를 들어보셨나요? 방송을 보다 보면 빌런이라고 하는 말을 많이 하는 것을 볼 수 있어요. 요즘 용어에 빠른 사람들은 잘 알아듣지만, 유행어에 둔감한 분들은 무슨 뜻인
richmom707.leve-rich.com
대한민국 숙박대전 지금 신청안하면 후회해요!
안녕하세요. 2023 대한민국 숙박대전 대한민국 숙박 세일 페스타가 오는 5월 30일부터 시작되었죠? 지역편 5만 원과 전국편 3만 원의 숙박비 할인을 받으실 수 있는 이번 대한민국 숙박 세일 페스
richmom707.leve-rich.com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항공권 예매 너무 저렴해도 놀라지마세요! (0) | 2023.06.14 |
---|---|
글루타치온 추천! 진짜 예뻐질 수 있을까? (0) | 2023.06.14 |
마늘장아찌 황금비율 레시피 아무나 알려주지 않는 핵심비법! (0) | 2023.06.10 |
대한민국 숙박대전 지금 신청안하면 후회해요! (0) | 2023.06.09 |
MZ세대 뜻 신조어 두렵지않아! (0) | 2023.06.08 |
댓글